구례 가볼만한곳 인기명소 쌍산재 여행하기
소재지 전라북도 장수군 계남면 화음리 9354 모란이 피기까지는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다리고 있을 테요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5월 어느 날, 그 오늘 무덥던 날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뻗쳐 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삼백 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모란이 피기까지는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 테요, 눈부신 슬픔의 봄을 나는 땅바닥에 무더기로 떨어진 동백 꽃잎을 보시면 영랑님의 위 시와 송창식의 선운사 노래가 생각납니다.
구례 벚꽃 개화 현황
구례는 이미 벚꽃이 가장 활발한 시기 만개하고 있습니다. 간간이 아직 피지 않은 벚꽃들이 보이기는 하지만, 우리들이 걸었던 길에는 이미 벚꽃이 충분하게 펴 있었습니다. 꼭 우리들이 담은 포인트가 아니더라도 구례 화엄사 톨게이트에 들어설 때부터 눈에 닿는 모든 곳들이 벚꽃으로 채워져 있습니다.
특히 좋았던 것은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는 것. 물론 우리들이 방문한 날이 월요일 평일이었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고 할 수는 있지만, 상대적으로 쌍산재나 화엄사에는 사람들이 많았던 것을 감안하면, 생각보다.
구례로 벚꽃을 보기 위해 찾아오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는 것을 알 있습니다. 벚꽃 하면 딱 떠오르는 진해 군항제, 여의도 운중로 같은 잘 알려진 곳들이 있는데, 필자는 사람들이 몰리는 것 때문에 단 한 번도 벚꽃 계절에 방문할 생각을 하지 않았습니다.
화엄사, 4천 원의 입장료가 합당할까?
잠깐의 벚꽃여행을 즐기고 다시 본 목적지였던 화엄사로 이동했다. 주차장에 들어가기 전부터 입장료를 내야 하는데, 성인 한 명당 4천 원의 입장료가 있습니다. 군인 할인도 존재하지만 정복을 입고 있는 군인만 할인을 해준다고 하는데, 어떤 군인이 굳이 정복을 입고 화엄사에 올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애당초 그럴 거면 할인 대상에 넣지 않는 게 낫지 않을까. 그래도 화엄사는 교과서나 한국사에서도 지속해서 언급되는 잘 알려진 사찰이기 때문에 거리낌 없이 입장료를 내고 들어갔다.
개인적으로 사찰은 역사성 때문에라도 한 번쯤은 들어갈 만한 이유들이 있다고 생각하는 편이니까. 그렇다면 4천 원이라는 입장료만큼의 가치가 있는 공간일까? 화엄사라는 공간에 어떤 목적을 두고 방문했는가에 따라 다를 것입니다. 만약 풍경, 홍매화 정도에 초점을 두고 방문한다면 그닥 만족할 만한 공간은 아닐 거다.
산수유 축제에서 살만한 것
마을 할머니들이 채소, 나물, 유과 같은 것을 가지고 나와 팔기도 하는데, 저는 이럴경우 유과를 사서 먹었습니다. 독특하게 맛있는 유과여서 더 많이 사오지 않은 것을 후회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산골마을입니다. 보니 산나물 같은거 사기에도 좋았던 기억이 납니다.
산수유즙이나 산수유차도 좋습니다. 술을 최애하는 분은 산수유로 담근 술도 추천합니다.
쌍산재, 만 원의 입장료가 바탕으로 한 곳.
화엄사에서 나와 쌍산재로 향했다. 윤스테이에 나온 공간으로 잘 알려진 장소. 들어가기 전부터 입장료가 만 원이나 한다는 정보를 얻고서는 꽤 의아했다. 아무리 음료 포함이라고 하지만, 개인 사유지에 들어가는 금액이 만 원이나 되다니? 그럴 만한 가치가 있는 공간인가 꽤나 궁금하기도 했고, 사람들이 올려놓은 사진들을 봐도 공간이 꽤나 괜찮아 보여 한 번 가보기로 결정했습니다. 일단 들어가면 인당 만 원의 입장료를 내고 음료를 주문하게 됩니다.
만 원 안에 음료 한 잔이 들어 있는 것이니 반드시 음료를 받고 이동하시라. 음료를 받고 마음껏 산책을 하고, 원하는 곳에 앉아서 음료를 마시면 된다고 하는데, 그렇게 공간이 넓은가 싶었다. 쌍산재의 부지는 정말 엄청나게 넓었다. 웬만한 카페를 생각하면 안 됩니다. 카페의 개념보다, 공간의 개념으로 인식하는 게 좋을 것 같다.
자주 묻는 질문
구례 벚꽃 개화 현황
구례는 이미 벚꽃이 가장 활발한 시기 만개하고 있습니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
화엄사 4천 원의 입장료가
잠깐의 벚꽃여행을 즐기고 다시 본 목적지였던 화엄사로 이동했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
화엄사 4천 원의 입장료가
마을 할머니들이 채소, 나물, 유과 같은 것을 가지고 나와 팔기도 하는데, 저는 이럴경우 유과를 사서 먹었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댓글